본문 바로가기
건강 의료 정보

위루관(PEG-tube)(영양튜브) 관리에 대해

by donnykim 2024. 5. 17.
반응형

위루관(PEG-tube), 즉 영양튜브는 위가 제 기능을 하지만, 구강으로 음식 섭취가 불가능한 대상자(만성질환으로 먹지 못해 영양결핍이 발생한 경우, 뇌기능 장애나 삼킴 장애로 음식을 삼킬 수 없는 경우, 외상이나 화상 등으로 잘 먹지 못하는 경우) 에게 장기간 영양공급 (4주 이상)을 위해 위장관에 직접 관을 넣어 음식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관으로 경관영양 식이제공을 위해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위루관 삽입 부위 소독 방법

  • 준비물: 소독 면봉(포비돈 스틱), 거즈 드레싱 제품, 혹은 거즈와 반창고 
  1. 감염 예방을 위해 손을 씻습니다. 
  2. 위루관 삽입 부위의 거즈를 제거하고, 삽입 부위의 피부가 붉어지는지, 열감이 느껴지는지, 고름같은 분비물이 나오는지 관찰합니다. 
  3. 위루관 삽입 부위를 소독 면봉, 혹은 베타딘 볼로 소독합니다. 소독 방향은 삽입부위→ 바깥쪽으로 2회 소독하며, 소독 면봉은 1회 사용 시 마다 교체합니다. 
  4. 소독액이 건조된 후, 거즈나 거즈가 부착된 제품을 붙입니다. 건조는 자연건조 시키고, 입으로 불지 않습니다. 
  5. 소독 날짜를 기록합니다. 소독은 2일에 한번 시행하며, 분비액으로 젖은 경우 매일 소독합니다.

 

영양액 주입 방법

  • 준비물: 영양액 주머니,영양액, 50ml 주사기, 물 
  • 영양액 주입 전 소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주사기를 연결하여 위 내용물을 확인합니다. 위 내용물이 100ml 이하인 경우 영양액을 주입합니다. 
  • 1시간 후에도 잔류량이 100ml 이상이면 한끼를 건너뜁니다. 
  • 영양액 주입 시, 상체는 30-45도 각도로 올립니다. 
  1. 감염 예방을 위해 손을 씻습니다.
  2. 식사 준비: 영양액 줄을 잠그고 영양액을 넣습니다.
  3. 영양액 주머니 줄을 높은 곳에 걸고 챔버를 채웁니다.
  4. 영양액 주머니 줄에 영양액을 채웁니다.
  5. 위루관 튜브에 영양액 주머니를 연결하여 주입합니다. 설사를 예방하기 위해 시간당 100~200ml의 속도로 주입합니다.
  6. 영양액이 다 들어가면 관을 꺾고 분리합니다.
  7. 물 30~50ml 주입하여 관의 막힘을 예방합니다.
  8. 약물이 처방되어 있다면, 20ml 이상의 물로 충분히 용해시킨 후 약물을 주입한 후, 물을 주입합니다. 
  9. 주입을 마친 후, 위루관이 잡아당겨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고정시킵니다. 

※ 위루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영양액을 주입하지 않더라도 매일 30~50ml의 물을 주입합니다. 

영양액 주입과 소독방법(출처-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

 

위루관 관리 및 주의사항

  • 피부 자극을 예방하기 위하여 위루관 주위의 피부를 청결하고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 위루관은 보통 6개월마다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교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위루관이 빠진 경우에는 깨끗한 거즈로 빠진 부위를 빈틈없이 막고 바로 병원을 방문합니다.
  • 요양기관에 있다면, 위루관을 갖고 있는 대상자와 담당요양보호사에게 일상생활에서 주의할 점에 대해 교육합니다.
  • 위루관이 움직이면서 주위로 자극이 되어 군살이 자라는 경우가 있으며 다음 외래 진료 시 의사에게 문의합니다.
  • 통목욕은 절대 금지이며 샤워는 가능합니다. 자극적인 비누나 바디클렌저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물로만 샤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샤워 전 튜브 삽입 부위를 투명 필름 등으로 밀봉하여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샤워 후 소독부위가 젖었다면 바로 피부를 소독합니다. 

 

병원에 방문해야 하는 경우

  • 설사, 변비가 계속될 때
  • 위루관이 막히거나 빠졌을 때
  • 복부 팽만감, 설사, 오심, 구토가 계속될 때 
  • 열이 날 때
  • 위루관이 찢어지거나 새기 시작할 때
  • 평소보다 잔여물이 많이 나올 때

 

 

 

참고_ 장기요양기관 시설급여매뉴얼,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 영양튜브 관리방법을 참고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