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 · 온 요법은 온도를 통해 피부 표면을 자극하여 통증을 조절하고 경감시키는 요법으로, 적절한 부위에 적절한 용도로 사용하면 근육 강직, 관절염 등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되는 건강관리 방법이지만 사람마다 열과 냉에 대한 내성이 다르므로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냉요법(냉찜질)
냉 요법이란 통증, 근육수축 및 염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냉을 사용하여 피부와 조직을 자극하는 것을 말합니다. 냉 요법 중에서 국소적 표면 냉 요법은 발열 환자나 수술 환자, 스포츠 손상 환자에게 흔히 사용되고 있습니다. 냉 요법은 발열과 통증, 부종, 출혈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비 약물 중재로서 냉 요법은 의료기관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자주 사용되는 건강관리방법 중 하나입니다.
적용
- 염좌, 골절, 체온 상승, 화상 후 조직손상 감소, 류마티스 관절염, 근육 연축 및 통증 시 실시하며 간헐적으로 적용합니다.
- 준비물: 아이스 팩, 커버나 수건
- 냉요법 적용을 할 수 있는 상태인지, 냉요법을 적용할 부위의 피부상태, 체온 등을 관찰합니다.
- 아이스 팩을 준비합니다(개별 제품설명서 참조).
- 아이스 팩을 건조하게 하고, 면 커버나 타월 등으로 감쌉니다.
- 주머니를 적용할 부위의 피부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 아이스 팩 을 대어 줍니다.
- 한 부위에 15분 이상 대지 않도록 하며, 15분 적용, 1시간 휴식 하는 간격으로 반복하고 감각이 둔한 곳은 주의하도록 합니다.
냉요법의 국소적 효과
- 냉은 피부와 조직의 온도를 낮추고 혈관을 수축시킵니다. 혈관수축은 조직으로의 혈류를 감소시키고 산소와 대사산물의 공급을 감소시킵니다.
- 냉은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감소시켜 조직으로의 체액유출을 방지하고, 따라서 염증 과정과 관련된 종창을 예방합니다.
- 냉을 적용하면 신경전도속도가 감소하고, 통증의 역치와 적응력이 증가하며 근경련과 관련된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 냉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순환장애, 세포파괴, 산소와 영양분의 결핍으로 결국 조직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냉요법의 금기
- 혈액순환이나 조직의 영양공급이 부족한 경우
- 저체온
- 피부색이 푸르거나 차거나 무감각한 경우
- 조직의 체액이 축적된 경우
- 무의식
- 근육 긴장이나 경직이 있는 경우
- 지나치게 허약한 경우
- 냉에 대한 과민반응
- 개방상처가 있을 경우
온요법(온찜질)
열 적용은 통증완화, 관절강직 감소, 근경련 완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이용되며 심리적으로도 이완되며 편안함을 느끼게 합니다. 온요법은 안전한 온도에서의 적용이 필수이며, 적용 시간 또한 지켜서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적용
- 온요법은 동통, 근육연축, 저체온, 관절강직, 혈류량 감소, 복부 장 연동과다, 위장의 염산분비 과다, 화농 촉진 시 실시합니다.
- 준비물: 핫백, 커버나 수건
- 온요법 적용을 할 수 있는 상태인지, 온요법을 적용 할 부위의 피부상태, 체온 등을 관찰합니다.
- 핫 팩을 준비합니다(개별 제품설명서 참조).
- 핫 팩을 건조하게 하고, 면 커버나 타월 등으로 감쌉니다.
- 주머니를 적용할 부위의 피부를 완전히 건조시킨 후 더운물 주머니를 대어 줍니다.
- 한 부위에 15분 이상 대지 않도록 하며, 15분 적용, 1시간 휴식 하는 간격으로 반복하고 감각이 둔한 곳은 주의하도록 합니다.
온요법의 국소적 효과
- 열은 피부와 조직의 온도를 상승시켜 혈관을 확장시킵니다. 혈관 확장은 세포 의 국소적 신진대사를 증진시켜 그 결과 조직의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킵니다.
- 열은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세포외액 및 혈장 단백질과 같은 물질이 세포벽을 더 잘 통과하여 부종을 초래하는데 이것은 열 적용 의 부작용 중에 하나입니다.
- 열은 식균세포의 활동을 증가시켜 염증 과정을 촉진합니다. 또한 근육을 이 완 시키고 근육경련을 완화하며 관절강직을 감소시킵니다.
- 복부의 열 적용은 연동운동을 감소시키고 위장관계와 위장점막의 혈류를 감소시키고 위산 분비를 감소시킵니다.
온요법의 금기
- 급성염증성과정
- 악성종양
- 출혈가능성
- 허약, 무의식
- 고환, 음낭 위
- 피부자극에 둔감해진 경우
- 동맥 정맥 기능부전: 순환상태가 나쁘면 열이 잘 분산되지 않아 조직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신용순, 김현정, 안지원, 이윤영. 성인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 냉 요법 간호실무지침 개발. Shin YS, Kim HJ, An JW, Lee YY.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s for Cold Application in Adult Care. Korean J Adult Nurs. 2018 Jun;30(3):325-345.
장기요양기관 시설급여제공매뉴얼
'건강 의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위관 관리와 경장영양 방법, 관리, 합병증 예방에 대해 (0) | 2024.06.07 |
---|---|
다발성골수종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일상생활 관리에 대해 (0) | 2024.06.05 |
변비의 원인, 관리, 합병증과 관장하는 법 (0) | 2024.05.30 |
화상 시 응급 대처(화상 단계 구분, 단계별 응급대처) (0) | 2024.05.29 |
기관절개관 소독, 교환과 관리 (0) | 2024.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