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의료 정보

기관절개관 소독, 교환과 관리

by donnykim 2024. 5. 27.
반응형

기관절개관은 염증, 종양, 외상, 수술등의 원인으로 인해 정상 호흡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경우 목의 피부와 기도를 연결하여 인공적으로 관을 삽입하여 숨을 쉴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통로를 말하며 기관루는 숨을 쉬도록 만들어 놓은 숨구멍을 뜻합니다. 기관절개관은 폐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는데, 기관절개관이 분비물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막고, 주위 피부 감염 등을 막기 위해 기관절개관을 깨끗하게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출처- 삼성서울병원 홈페이지

기관절개관 교환

  • 분비물에 의하여 막히기 쉬우므로 1주일 혹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 교환합니다.
  • 준비물: 멸균 장갑, 소독된 흡입세트, 새 기관절개관, 고정용 끈, 윤활제, 가위, 생리식염수, Y자 거즈
  1. 손을 씻습니다. 
  2. 호흡 수를 측정하고 호흡곤란이 없는지 확인하고, 피부색을 관찰하여 산소 부족 현상을 사정합니다. 필요 시 경피적 산소 포화도 측정기로 산소포화도를 측정합니다.
  3.  소독된 흡입세트에 새 기관절개관을 오염되지 않게 놓고 새 기관절개관 끝에 윤활제를 바릅니다.
  4. 가위를 이용하여 삽입되어 있는 기관절개관을 고정하고 있는 목끈을 제거하고 삽입되어 있는 기관절개관도 조심스럽게 제거합니다.
  5. 기도내의 분비물을 흡입해 낸 후 기관절개 주위를 소독합니다.
  6. 준비해 놓은 새 기관절개관을 기관 속으로 삽입합니다. 스스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목과 턱을 충분히 편상태에서 하는 것이 좀 더 용이합니다.
  7. 목끈을 손가락 하나 정도 들어갈 여유를 두고 묶습니다.
  8. 매듭을 만든 후에는 안전하게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9. 기관 절개관 주위에 Y자형 거즈를 대어 주어 주위 피부를 보호합니다.
  10. 기관지관 교환 후 대상자의 호흡 상태를 평가합니다. 

 

기관절개관 소독

 

  • 기관절개관이나 기관루가 폐로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항상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매일 1회 이상 시행하며, 분비물로 오염된 경우 더 자주 시행합니다. 
  • 준비물: 소독세트, 멸균장갑, 베타딘 혹은 클로르헥시딘(혹은 과산화수소수), 소독 솜, 생리식염수, Y자 거즈, 고정용 끈, 가위 
  1. 손을 씻고 기도 내 분비물을 흡인합니다. 
  2. 먼저 위의 소독액으로 기관절개관 주위를 닦은 후 생리식염수로 다시 닦아줍니다.(닦아 줄 때는 주위를 중앙에서 바깥으로 3회 이상 원을 그리듯 소독합니다.)
  3. 주위에 분비물 등이 붙어 있는 경우 생리식염수 등을 적신 후 면봉이나 핀셋으로 조심스럽게 제거합니다.
  4. Y자 거즈를 기관절개관 밑에 대어 줍니다. 거즈는 젖지 않고 항상 건조하게 유지되도록 합니다. 
  5. 기관절개관 고정용 끈을 교환해줍니다. 이 때 손가락 하나 정도의 여유를 두고 끈을 묶습니다.

 

기관절개관 관리

  • 감염과 피부 자극을 예방하기 위해 기관절개관 부위 소독은 매일 실시합니다.
  • 기관절개관 튜브가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목의 고정용 끈은 손가락 하나 정도 여유를 두되 너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 옷은 기관을 압박하지 않도록 목 둘레가 헐렁한 옷이 좋습니다.
  • 습기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청결한 가습기를 사용하고 수분을 보충합니다.
  • 대상자 본인 스스로 기침을 자주 하여 가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음식물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앉아서 식사하고, 식 후 몇시간은 앉은 자세를 유지합니다. 
  • 풍선이 있는 기관절개관이라면 음식물 흡인을 방지하기 위해 식사 후 풍선을 유지하고, 풍선을 지나치게 팽창시키면 기도 점막의 자극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압력을 유지해야 합니다. (기관절개관 압력측정기로 14-20mmHg를 유지합니다.)
  •  가래가 많으면 기관절개관을 막아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주 흡인(Suction 석션)을 실시하여 가래를 제거하고 기관절개관을 교환합니다. 

 

병원을 찾아야 할 응급상황

  • 호흡곤란 증상이 있으면, 즉시 흡인을 하고 기관절개관 주위에 딱지가 생겨 입구를 막지 않았는지 확인합니다. 기관절개관을 교환하고,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합니다.
  • 입술이 파래지는 증상이 있거나, 튜브 입구의 내쉬는 공기가 약하게 느껴지는 경우
  • 음식물이 기관으로 나오거나, 기관 주위 염증이 의심되는 경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