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 사회 심리적 노화

치매 어르신 돌보기- 식사 도움

by donnykim 2024. 5. 2.
반응형

<일반 식사>

식사는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하며 음식을 씹는 저작행위는 의식 수준을 높이고 생활 리듬을 되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먹는 즐거움을 통해 삶의 활력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식사 보조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레 및 질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이때 피해야 할 음식으로는 마른 음식(김, 뻥튀기), 점도가 높은 음식(떡), 잘 부서지는 음식(유과, 비스킷), 자극적인 음식이 있으며 식사 시 주의해서 관찰해야 합니다. 그리고 도움 중 인지나 저작, 소화 기능 등에 이상이 있는지 살펴야 합니다. 

 

식사 도움 - 스스로 먹을 수 있는 경우 

  1. 손을 씻거나 깨끗한 물수건으로 닦습니다.
  2. 턱받이를 착용합니다.
  3. 의자 깊숙이 앉히고 상체가 약간 숙여지도록 합니다.
  4. 식사 전 '아에이오우' 운동을 하여 씹는 기능과 삼키는 기능을 자극합니다.
  5. 편식이나 과식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음식을 급하게 먹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입니다.

 

식사도움- 스스로 먹기 힘든 경우 

  1. 음식의 온도를 확인하고, 음식은 숟가락의 절반 이하로 뜹니다.
  2. 숟가락을 아래쪽에서 입으로 가져간 후 숟가락 손잡이 쪽을 약간 올리면서 음식을 먹입니다.
  3. 편마비로 혀나 목 근육을 잘 움직이지 못할 떄는 건강한 쪽에 음식물을 넣습니다.

 

식사 후 정리

  1. 식사를 마치면 물로 입안을 헤구도록 돕습니다.
  2. 입 주위를 닦고 턱받이를 치웁니다.
  3. 식후 복용약이 있다면 투약 방법과 용량, 조제 날짜 등을 확인합니다.
  4. 식후 30분 안에는 눕지 않도록 하고 가벼운 산책을 다녀오는 것도 좋습니다. 

 

<경관 영양> 

와상 상태의 대상자가 입으로 저작, 삼킴 기능이 불가능한 경우 경관영양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비위관을 통해 적절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건강의 유지 및 관리를 도울 수 있습니다. 

출처- 중구자치신문 홈페이지

주의사항

  • 비위관 영양은 기도흡인, 발열, 복통, 오심, 변비, 설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이 요구됩니다.
  • 영양물의 유효일자를 확인합니다.
  • 영양주머니는 매회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켜 사용합니다.
  • 비위관 튜브를 정확히 고정하여, 빠지지 않게 주의하고 무의식적으로 빼려 할 수 있으므로 항상 고정 상태를 확인하고 주의합니다.
  • 비위관 영양 주입 중이나, 주입 후에는 비위관이 새거나 역류되지 않도록 개폐 여부를 확인합니다.
  • 음식물 주입 시 오심, 구토, 청색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립니다.
  • 튜브가 빠졌을 경우 즉시 의료인에게 알립니다.
  • 입안의 건조와 갈증을 예방하고 입술 보호제를 발라줍니다. 

 

준비

  1. 준비 물품을 확인하고 정돈합니다.
  2. 준비물품으로는 처방된 위관 영양액, 주사기, 영양주머니(위장관 영양액: Feeding bag), 컵, 물, 입술보호제, 윤활제가 있습니다.

 

방법

  1. 위관 영양액을 따뜻하게 해둡니다.
  2. 대상자를 앉게 하거나 침상머리를 올립니다.
  3. 손을 씻고 영양주머니에 처방된 양만큼의 음식을 채웁니다.
  4.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흡인하여 튜브의 위치를 확인하고 남아 있는 음식양을 확인합니다.
  5. 튜브의 끝을 막고 주사기나 깔때기를 연결한 후 물을 20~30cc를 넣고 약 30cm 높이에서 끝을 열어 천천히 주입되도록 합니다.
  6. 주입이 거의 끝났을 때 30~60cc 정도의 물을 주입합니다.
  7. 튜브를 잠근 후 반좌위로 30분 정도 앉아 있게 합니다.

 

확인

  1. 음식물 주입 등 도움 시 비위관이나 대상자의 신체반응에 이상이 있는지, 기도 흡인 등의 부작용을 관찰하고 확인합니다. 

 

<먹는 약 복약 도움> 

노인 대상자의 경우, 여러 기저 질환으로 인해 먹는 약의 종류 및 갯수가 많고 복약법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투약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매 어르신의 신체 및 인지기능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용량, 시간에 맞춰 먹는 약을 복용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습니다. 

방법

  1. 약 포장지의 표면에 있는 이름을 확인합니다. 
  2. 침상머리를 높이고 반좌위를 취해주고 복용방법을 설명합니다.
  3. 약물을 입에 넣도록 하며, 약은 물과 함께 복용하도록 합니다. 
  4. 약을 복용하면서 기침을 심하게 한다거나 오심, 구토를 보인 경우 의료진에게 알립니다.

 

 

 

 

참고_ 장기요양기관 시설급여제공매뉴얼을 참고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