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장은 온몸에 혈액을 순환시키는 펌프 역할을 하면서 산소와 영양소를 전달합니다. 이 때 심근이 체내 혈류를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심근으로 지속적인 산소 공급이 유지되어야 합니다.
심장 주위에는 관상 동맥이라고 하는 혈관이 위치하여 심장으로 혈액을 공급하는데,
협심증은 이 관상 동맥의 폐쇄나 협착에 의해 심장 근육에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며, 이로 인해 가슴의 통증이 유발되는 질병입니다.
마치 가슴이 좁아진 듯 조이고 뻐근한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협심증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협심증의 원인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등이 명백한 위험 인자입니다. 그 외에도 비만,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이 가능한 위험 인자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주된 원인은 혈관 속의 지방 축적이므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고 비만인 경우는 체중을 감소시키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권장식품
- 신선한 채소, 잡곡, 제철 과일
- 저지방 어육류, 생선, 두부 등의 균형잡힌 식사
주의식품
- 고지방 어육류 : 갈비, 삼겹살, 육류의 껍질과 기름, 장어, 햄류
- 고콜레스테롤 식품 : 내장류, 새우, 오징어, 계란노른자
- 기름진 음식 : 탕류, 중국음식, 튀김류, 전류
- 염장 식품 : 김치류, 젓갈류, 장아찌류, 건어물 및 자반 생선류
- 가공식품 : 햄류, 통조림류, 라면
- 국물류 : 국, 찌개
식사요법과 주의할 사항
- 밥은 현미, 보리 등을 섞은 잡곡밥이 좋으며 기호에 따라 적정량 혼식합니다. 단, 입맛에 맞지 않을 경우 무리하게 잡곡밥을 고집하지 말고 쌀밥을 섭취합니다.
- 고기, 두부, 생선 등의 단백질 반찬도 골고루 섭취하되 고기는 기름기와 껍질을 제거한 살코기로 섭취합니다.
- 채소반찬은 제철 채소를 이용하여 싱겁게 조리하되 장아찌, 김치 등의 염장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간식은 정규 식사 사이에 제철 과일과 우유로 섭취합니다.
- 전체적인 조리 방법은 지방 섭취를 줄이기 위해 튀기거나 부치는 대신 굽기, 찜, 삶는 방법을 주로 선택하나 맛을 내기 위해 적당량의 식물성기름(참기름, 들기름 등)은 사용합니다.
- 염분량은 소금을 기준으로 1일 6g만 추가하도록 합니다.
- 저염식 적응을 위해 조리 시 미리 염분을 넣는 것보다 무염 조리 후 따로 분량의 저염 소스를 곁들이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 소량씩 자주 먹습니다.
- 섬유소 섭취를 점차로 증가시키며 수분도 부족하지 않게 섭취합니다.
- 카페인 섭취를 줄입니다.
- 과체중인 경우 열량제한식을 병행합니다.
참고)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를 참고했습니다.
반응형
'건강 의료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풍의 정의, 원인, 치료, 식사요법 (6) | 2024.11.12 |
---|---|
위식도역류질환의 정의, 원인, 증상, 치료, 식사요법에 대해 (2) | 2024.10.31 |
담즙배액관의 관리, 주머니 비우기, 소독, 주머니 교환에 대해 (6) | 2024.09.26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 조회, 작성, 효력에 대해 (0) | 2024.07.19 |
유방암 환자의 식생활 관리는 어떻게 할까요? (2) | 2024.07.17 |